LEEKYUNGHO
ABOUT Leekyungho
A Fall 1989 Dijon
이 경호 LEE KYUNG HO (李 京 浩)
1987년부터 2000년까지 프랑스에서 활동. 귀국 후
미디어시티 서울, 광주 비엔날레, 부산 바다미술제, 창원 조각비엔날레, 순천만 국제 자연환경미술제, 상하이 비엔날레, 세비아 비엔날, 세네갈 비엔날레 한국 특별전, 독일 Z.K.M 아시아 현대 미술제, 슬로베니아 뉴블리아나 현대미술관, 타이페이 현대미술관, 상하이 두오룬 미술관, Tamarindo Art Wave Festival 코스타리카, 중국 사천 미술관, 광안 야외미술제 등 에서 전시. KIAF, 부산, 상하이 아트페어 특별전 출품
심장수술과 아들을 낳고 난 후부터 기후변화와 환경 생태 문제를 작품의 부주제로 다루고 있다.
"UStudio"와 "지구와 사람” 멤버로 활동중이다.
수상 : 《Salon de la Jeune Création》에서 Espace Paul Ricard 수상, 50주년 기념 《Salon de la Jeune Peinture》, 파리, 프랑스
2022 “다시여행“ 아미 아트 뮤지엄
행 행 행 전, 수원시립미술관,
홍신자와 백남준 탄생 90주년 기념 공연 무대미술, 담양
그라운드 X, 클립드롭스 NFT 출시
2021 생태미술: 대지의 시간, 과천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 무용단과 허생초, 기기묘묘, 토핑 협업 이경호 & UStudio
서울시 무용단 고우리와 데드라인 1,5 무대미술과 영상 협업 이경호 & UStudio
강원트리엔날레
전남수묵비엔날레 “일즉다 다즉일”
"토핑" 무대미술 &영상(UStudio) 서울시무용단 협업, 세종문화회관
행복연대 인덱스갤러리
어떤 흔적, 선회하는 시선. A Mark I
태권 V전, V센터
명동 신논현 LED 전광판 전시. (UStudio)
지구의날 기념 영화제, 온라인 유튜브 상영, 유제, 지구와사람. (UStudio)
FAS2021 SPACE 933 세종시
2020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 연미산자연미술공원
대구달성 현대미술제 / 달성 강정보
세종대왕과 음악, 취풍형 – 망월노래 / 정부세종청사 문화관 세종시
Now and after, center for contemporary art Winzavod, 모스크바, 러시아
2019 제4회 JIAF 지리산 국제환경예술제 & 대한민국 환경디자인대전 하동 / 서울 예술의 전당
제1회『세종 카운트 웨이브- 내재된 힘/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Full time Artist Yangpyeong
올미아트스페이스 한일교류전 “추”
제5회 예술통 골목축제
2018 "또 다른 언어들"다카르비엔날레 한국 특별전
Art Busan 미디어 아트 특별전
Tamarindo Art Wave Festival Costarica
“저항과 도전의 이단아들” 2부 한국 행위예술 50년전 대구미술관
광주문화재단 미디어 338 ”디지털 문” 기획초대전
Artspace 15.8 “집 그리고 기억”
Artspace 9 “공명”
제4회 예술통 골목축제
2017 달과 6펜스 안냥파빌리온 파사드 작업
JIIAF 지리산 국제환경예술제 & 대한민국 환경디자인대전 하동 / 서울 예술의 전당
Beijing expo CIGE Asia 특별전
KIAF 특별전 : 실험과 도전의 전사들 한국 행위예술 50주년 기념 자료전
제11회 태화강 국제설치미술제
2016 제3회 창원국제조각비엔날레
제1회순천만국제자연환경미술제
2015 "부산 바다미술제" 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
"GLASS ART & JAZZ on Glassisland" 대부도 유리섬 미술관
2014, K-P.O.P, 한국현대미술전 Taipei MOCA 타이페이 국립현대미술관
"디지털 트라이앵글: 한·중·일 미디어 아트의 오늘" 대안공간 루프
“Qingdao Biennale” (칭따오, 중국)
"Bomb" 대안공간 스페이스눈 십주년 기획전
"이원일의 창조적 역설전" 대안공간 쿤스트독
"Slow Slow Quick Quick!" 대안공간 쿤스트독
2013 디지로드 용인한국미술관
2012 몽유_마술적 현실 과천국립현대미술관
2011 "라이트 아트의 신비로운 세계"경남도립미술관
<테크놀로지의 명상-미디어의 정원>展 포항시립미술관
2010 ‘오월의 꽃’ 5.18 광주 민주화 운동 30주년 기념전 (광주 시립미술관)
“Image of september” with Annie ratti (갤러리 세줄)
“현실과 은유의 경계” (조선대 미술관)
2009 서울 빛 축제
2008 세비야 비엔날레 (세비야, 스페인)
가상의 경계전, 한지연 컨템포러리 스페이스 (중국, 베이징)
2007 Mestna Galerija (뉴블리아나, 슬로베니아)
ZKM 아시아 현대미술전 (ZKM, 독일)
“No-Signal(?HELP)”개인전(갤러리 세줄, 서울)
2006 '여행자-Traveler'개인전 (갤러리 세줄, 서울)
상하이 비에날레 (중국 상하이)
2005 Shanghai COOL (Shanghai Duolun 현대미술관)
2004 제 5회 광주비엔날레 (광주)
자화경전 (우제길미술관/광주)
주안미디어문화축제 (KBS 디지털미술관)
Taipei MOCA "Digital sublime" 전 (타이페이 현대미술관)
2003 Prince Princess전 (갤러리 현대)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전
2002 미디어시티 서울 (서울 시립미술관)
꿈과 카오스의 이중주, 끝없는 긍정과 부정전 (갤러리세줄, 서울)
2001 맑은물 사랑전 (서울 시립미술관)
2000 재불청년작가전 (프랑스 파리 한국문화원)
1999 '쌀롱드죤느뼁트르' 출품 video설치, Espace Branly,Paris
재불청년작가전 (프랑스 파리 한국문화원)
봉쥬르 서귀포전 (제주도) 봉쥬르 밀레니엄전 (서울갤러리
1998 "SOLE TEMPS MUR 전" video 조각 (Espace Arsenale Paris)
"아뜰리에 개방전" video 조각 소나무회 Paris
"INTERCOLES 7전" video image (Centre d'Art Contemporain 루이말메종/ 프랑스)
"ca prend pas de place" video 설치전(Gallery J & J DONGUY /프랑스 파리))
1994~1997 국방부 조달본부 불어번역사병으로 군복무
1994 Video 설치와 행위전 Espace Montjoie (프랑스 파리)
1993 Video 설치와 회화전 Espace Montjoie (프랑스 파리)
1992 회화전 L'ABATTOIR(도살장) 샬롱쉬르센 (프랑스)
시와 행위전 (E.T.S Phnographique de l'est/프랑스 파리)
회화전 (d'Expo Ecole des Beaux-Arts/ 부다페스트 헝가리)
1991 세계 젊은 경향전 - 설치와 행위 (l'Espace d'un instant Paris 프랑스 민영TV 방송채널 TF1 방영)
1990 여섯번의 행위, 인생 1-6 (Ecole Nationale des Beaux-Arts de Dijon/ France)
비디오 설치전1989 ORLAN과 다수의 행위예술제 참가 Poliphonix 89 (뽕삐두센터/ 프랑스 파리) l'acte pour l'art Tarascon (남불)
작품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과천), 광주시립미술관, 정보통신부(천안), 오룸갤러리, 서울중앙우체국, 동대구우체국, 대전창조의전당,
iTV방송국(인천), 로담코 프레이져 스위트 호텔(서울), 한국통신 프리텔사옥(서울), 서남권 농산물 도매센터(서울),
장안동 현대 홈타운(서울), 서초복합상업시설 셀파(서울), 삼성 트라펠리스(경기 분당), 강동SK허브진(서울),
신아타운(서울), 누존패션상가(서울), APM패션상가(서울), 엡스 201 패션상가(인천), LG강촌리조트(강원 춘천),
우리농수산물 시장(서울), 대우 푸르지오(진주), 대우 푸르지오(부산), 송도 SK view(인천)
Copyright © 2021 Leekyungho